본문 바로가기

정보/일상

기름값 계산기 연비 주유비 총정리

회사를 다니다보면 외근을 갈일이 가끔씩 생긴다. 거래처 사람을 만나러 간다던지, 회사공장을 체크하러 간다던지 외근을 갈일이 생기게 된다.


회사차로 이동하면 별 문제는 없지만 가끔 회사차가 없을때 자차로 이동을 할때가 있는데, 이럴때 항상 재정경리부에서 서류를 제출하면 기름값을 입금해준다고 한다.


그 후로 회사차보다 자차가 더 편해서 자차를 이용하고 지결을 써서 올리고 있다. 여행을 가기전에 경비를 계획하고 있을때 계산을 해봐도 유용하게 쓰이는 편이다.


기름값 계산기 연비 주유비 총정리


지출결의서와 함께 증빙할 자료가 필요한데, 이 방법을 사용해서, 증빙서류로 함께 제출을 하고 있다. 




역시 안되는거 없는 네이버에서 간단하게 검색이 가능한데, 오늘은 기름값 계산기 연비 주유비 계산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먼저 네이버에서 네이버 지도라고 검색을 하면 된다. 길찾기를 하실때 많이 이용을 하시는걸로 알고 있는데, 아래에 있는 빠른길찾기 버튼을 눌러서 들어가보면 된다.



네이버 지도로 들어와서 길찾기 버튼과 자동차버튼을 누르고, 출발지와 도착지를 각각 입력하면 된다.




나같은 경우는 예시로 포천에 있는 대진대학교에서 보라매공원으로 지정을 해보았다. 정확한 주소지를 입력할수록 정확하게 나오니 주소를 끝까지 입력하시길 바란다.



대진대학교에서 보라매공원으로 출발지와 도착지를 입력하고 길찾기 버튼을 누르면 아래에 최단경로로 이동할 수 있는 방법과 이동거리가 보입니다. 통행료,택시비,주유비가 나오는데, 주유비 옆에 있는 i 아이콘을 클릭하시면 된다.



그럼 요금 정보 기준일로 날짜가 나오고, 통행료의 경우 소형차 기준(할인/할증 요금 미반영)으로 책정이 된다.




택시비의 경우 서울택시비 기준으로 나오며, 주유비는 유가에 따라 계속 달라진다. 연비도 함께 나오는데, 차마다 연비가 다르기 때문에 설정을 바꾸고 다시 조회할 수 있다. 아래의 설정하기 버튼을 눌러보자.



설정하기 버튼을 누르면 차종,유종,연비설정을 할 수 있다. 소형차,중형차,대형차,대형화물차,특수화물차,경차로 나뉘어져 있고 기준이 오른쪽에 표시가 되어 있다. 유종은 휘발유,경유,LPG로 선택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차량마다 연비가 다르기 때문에 자신의 차량의 연비를 기입하고 입력완료 버튼을 누르면 기름값 계산기가 다시 돌아간다.



회사생활을 하거나, 여행을 갈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기름값 계산기 사용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는데, 외근을 가실일이 있으면 편하게 자차로 이동하시기 바란다. 이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의 공감버튼을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