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보험은 질병이나 부상으로 인해 발생한 고액의 진료비로 가계에 과도한 부담외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평소에 보험료를 내고 보험자인 국민 건강보험공단이 이를 관리,운영을 하다가 필요시 보험급여를 제공함으로써 국민 상호간 위험을 분담하고 필요한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해주는 사회보장 제도이다.
대부분 4대보험에 가입시 함께 가입이 되는데, 이 확인서는 행정 서류로 건강보험 취득과 상실에 대해 확인할 수 있는 서류이다. 자격득실확인서로 직장 경력에 대한 증빙자료로 확인도 가능하다.
그렇기에 취업할때 요구하는 경우도 있으며, 대학원 원서접수나 금융권 대출, 공공기관에 제출할때 필요한 서류이다.
건강보험 자격득실확인서 인터넷발급 방법
자격득실확인서는 정부에서 경력단절여성 채용우대정책을 할 때 제출서류로 이 확인서를 요구하기도 한다. 경력단절여성은 아시다시피 육아나 출산으로 인해 직장생활을 하다가 그만둔 여성을 뜻합니다. 출산휴가나 육아휴직후에 다시 직장으로 복귀하는 경우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인게 안타까운 현실이다.
건강보험 자격득실확인서 인터넷발급은 공인인증서가 있다면 간단하게 인터넷으로 발급을 받을 수 있는데 그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먼저 인터넷 검색창에 국민건강보험공단을 검색하시면 사이트가 하나 나오는데, 여기로 접속하여야 발급을 받아보실 수 있다.
링크 바로가기 - www.nhis.or.kr
홈페이지에 들어오게 되면, 아래쪽에 녹색바탕에 박스가 4개 있는데 이 중에서 자격득실확인서를 검색하시면 된다.
팩스나 출력으로도 조회가 가능하고, 유사한 서류인 건강보험 납부확인서 인터넷발급을 할 수 있다. 게다가 검진대상자 조회나 진료받은 내용도 볼 수 있어서 매우 유용한 사이트이다.
버튼을 누르니 공인인증 로그인이 필요하다고 하는데, 귀찮지만 공인인증서가 반드시 있어야 한번에 조회가 가능하기 때문에 공인인증서로 로그인을 하도록 한다.
공인인증서가 없다면 신분증을 지참하여서 가까운 국민건강보험공단지사 또는 국민연금지사를 방문하면 공인인증서를 무료로 발급 해주고 있다.
저렇게 방문하지 마시고 가지고 있는 인증서를 통해 로그인 하시길 적극 추천드린다.
가입자 또는 가입자였던 자의 건강보험자격 득실을 확인하는 증명서라는 설명과 함께 주민등록번호와 성명이 바뀌었을때 가까운 지사로 문의하라는 내용도 함께 나와 있다.
로그인을 하고 나면 자격득실확인서 발급내역이 나오는데 처음에 아무것도 나오지 않아서 조금 당황했지만, 리스트가 좀 길어서 10초정도 기다리다 보면 리스트가 쭉 나온다. 가입자 구분, 사업자 명칭, 취득일,상실일이 전부 나온다.
건강보험 자격득실확인서 발급은 주민등록번호 표시하여 출력버튼을 누르고 선택한 다음 프린트발급 또는 팩스전송 버튼을 누르면 끝이다. 이미지에 번호로 표시를 해두었으니 저 순서대로 하시면 된다.
요즘 인터넷이 정말 잘되어 있어서, 정부 및 공공기관에 방문하지 않아도 집에서 간편하게 인터넷발급을 받아보실 수 있다. 직장에서도 간편하게 출력을 할 수 있으니 한번 위의 순서대로 해보시기 바란다. 이상으로 건강보험 자격득실확인서 인터넷발급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정보 >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성매직 지우는법 완벽정리 (0) | 2017.08.15 |
---|---|
층간소음 법적기준 해결방법 (1) | 2017.08.14 |
유플러스 영화예매 무료보기 (0) | 2017.08.13 |
여수에서 제주도 배편 총정리 (0) | 2017.08.09 |
기름값 계산기 연비 주유비 총정리 (0) | 2017.08.08 |